경제규모 25조엔, 1500만명의 1인 CEO, 일본의 프리랜서 시장

일본의 매력적인 프리랜서 시장을 활용해서 일본 진출 기회를 찾아보세요

일본 진출 현지 파트너
일본진출에 관심있는 한국 스타트업들은, 일본의 프리랜서 시장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스타트업에게 일본 프리랜서 시장은 매력적
①시장 자체도 크고, 코로나이후 빠르게 성장중(1000만→1500만명)
②프리랜서 유저들을 주 타겟으로한 경쟁력있는 큰서비스들도 적음
③프리랜서들은, 당장의 매출/코스트에 영향을 줄수있는 서비스 가치를 제공하면 일반 유저보다 지불 의향도 높음
④그리고, 한국 B2B 스타트업의 일본 진입 방법면에서, 아직 현지에서 비지니스 신뢰와 네트워크가 적은 상태에서 일본 기업 고객들을 발굴해가는것은 많은 시간과 리소스, 인내심이 필요할 수 있는데, 1인 경영자 프리랜서 고객/유저는 상대적으로 B2C에 가까운 방법으로 획득할 수있고, 수익을 내면서 PMF를 찾을 수 있다

일본 프리랜서 시장은 왜 성장하는가?
①낮은 인재 유동성 : 일본의 정사원의 평생 전직회수는 평균 1.8회로 매우적음. 기업들이 정사원 채용을 하고싶어도 사람을 못구하는 상태. 부족한 부분은 포기하거나, 프리랜서로 커버(한번 경험한곳은 적극적으로 이용).
②코로나 이후 리모트워크 증가로 부업 경험자 증가: 부업으로 경험후, 본격 프리랜서로 전향.
③사원의 부업허용 기업증가 : 급여 증가 한계에 따른 사원 불만/채용 어려움을 부업 허용으로 커버, 사원 경험 향상 효과 기대

어떤 한국 스타트업들에게 기회가 있나?
프리랜서의 매출/코스트에 영향을 줄수있는 가치를 제공하는 스타트업들은 노려볼만 하다
①배움/학습 서비스 : 학습 니즈가 있다. 본인의 매출과 직결 (새로운 기술을 배운다, 기존 기술을 강화한다)
②시간/업무를 효율적으로 : 프리랜서에게 시간은 돈. 매출과 직결
③클라이언트 확보를 돕는 서비스 : 고객 확보는 대부분 프리랜서에게 막막한 Pain point로, 해결되면 (많은 프리랜서가 지인 소개로만 해결중) 본인 매출과 직결
④프리랜서 특화 금융 서비스

사업 확장 가능성
프리랜서 고객 확보후(성장후), 확보한 자산을 활용한 사업 도메인 확장도 가능성도 있음
①정사원 채용 서비스 : 우선 업무위탁 형태로 기업과 프리랜서가 서로 테스트후, 풀타임 정사원 채용-프리랜서 모두가 평생 프리랜서로 일하고 싶은것은 아님. 수년 프리랜서로 일해보고, 다시 정사원으로 일하고 싶어하는 프리랜서도 많다.-일본의 정사원 채용 시장은 시장이 굉장히 크고 (연봉의 30~40%가 채용 수수료), 구직자DB 확보한곳이 힘을 가짐
②프리랜서 매칭 서비스 : 프리랜서를 찾는 기업과 안건을 찾는 프리랜서를 연결